Disentanglement was the ideology of the previous century/world we reside in
너는 이것을 해라, 나는 이것을 할테니. 각자 잘하는 것을 하다 보면 더 효율적으로 전체의 부가 늘어나지 않겠는가.
분업의 ideology, based on disentanglement: Belief that disentangled roles & responsibilites, optimisation in each section, will lead to the optimisation of the whole: As the optimisation of a certain factor will not effect others but solely positively impact its own factor.
This ideology of disentanglement applied to every part of our daily lives: 서비스업을 예로 들자면, 고객은 직원이 잘못했을 경우 윽박지를 수 있다. 왜냐면 직원은 그 자신의 전문분야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객의 역할은 사람과 사람간의 유대적 연대라기 보다는 돈을 지불한 서비스 받는 사람으로써 절대 갑. 현대 한국 사회에서 수많은 소송이 발생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조금 여유를 가지고 서로 배려해주면 해결될 문제를 서로의 잣대 (Disentangled Goal) 만의 절대적 optimisation을 맹목적으로 선호했기 때문…
The most powerful statement of the Disentanglement ideology: 기업의 사회적 역할은 이윤을 Maximise 하는 데에 있다. (그 외에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Disentanglement worked in a relatively simple world, back in the 20th Century.
Now we’re acknowledging that it’s no longer functioning, in the 21st century we’re living in…
The world got so complex, that there is possibly no purely disentangled factor. Affecting one part of the system shoul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another…
Therefore, Disentanglement system it’s just a 심리적 위안, 이야기짓기의 오류 - 카네만, 복잡한 세상을 단순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사고적 오류. 이러한 심리적 위안에 입각한 심플한 시스템을 채택한다면 단기적으로는 그 위안에 안주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예상치 못하는 시스템의 부분에서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Modern contemporary system’s 보상구조 still based on disentanglement… And this disentanglement seems like even accelerating… maybe there is a psychological feedback loop here…
더 이상 기존의 Disentanglement가 Functioning 하지 않음 → 사람들이 더 많이 Disentanglement를 원함, Partly 조급함, Partly 불안함, Partly Disentanglement System에 대한 신봉 → Disentanglement가 더욱더 Functioning 하지 않음
One of the most severe problem is that the disentanglement system is easy to calculate, thus easier to grant a reward to the system’s player - Especially in the short term, it seems like this reward system is functioning. However, its long-term negative side effects are hidden (Lack of skin in the game) so nobody really takes the risk of the system being highly disentangled.
It is human psychology & myopic system’s drawback to prefer disentanglement over entanglement. But paradoxically, as more as we disentangle the system, the system appears to be even more entangled in the long-term.
이런거 수학적으로 심플하게 모델링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이런 모델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Multi-Agents 가 공존하는 하나의 Multi-Device Web Artwork 시스템을 만드는거지… (Each device as an agent/system player, and inter-device - inter-agent relationship roughly defined based on the simulation)
Optimisation of the part no longer induecs the opimisation of the whole.
During the past century, the ideology of disentanglement was prevalent. The concept was simple - each individual or entity would focus on their own tasks and specialties. The resulting division of labor would then lead to the optimal functioning of the entire system. This belief was that the optimization of a specific factor would solel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at particular factor, without affecting others.
This principle of disentanglement was applied in almost all aspects of our daily lives. For instance, in the service industry, if an employee fails to perform their role adequately, the customers have the right to complain. In this scenario, the customer’s role is not to foster cordial relations with the staff, but to receive the service for which they have paid. The multiple lawsuits in modern Korean society stem from this very principle - a problem that could potentially be solved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is instead addressed by insisting on absolute optimization of individual goals.
The most striking representation of the disentanglement ideology was seen in corporate roles. The sole responsibility of a company was considered to be maximizing profit with no obligation to worry about anything else.
However, while disentanglement worked effectively in a comparatively simplified world of the 20th century, it is proving to be less effective in the complex 21st century. The intricacies of today's world mean that every factor is interwoven - altering one part of the system coul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another. Disentanglement then, is essentially a psychological consolation, a thought error that oversimplifies an otherwise intricate world.
The reward structure of modern systems is still based on disentanglement. But this system seems to be prompting more disentanglement with time, potentially because of a psychological feedback loop. This lack of functioning by disentanglement leads to an increased desire for more disentanglement, caused by elements of impatience, insecurity, and faith in the disentanglement system.
The issue lies in the disentanglement system being easily quantifiable and rewarding - this makes it seem attractive and functioning, especially in the short term. However, this hides the long-term negative effects, leading to a high-risk system.
The tendency to prefer disentanglement over entanglement is a drawback of human psychology and short-sighted systems. Unfortunately, the more we try to disentangle the system, the more connected it appears to become in the long run.
Could this system be mathematically modeled in a simple manner and utilized to create a web artwork system where multiple agents coexist? Each device in this framework could act as an agent or system player, with inter-device and inter-agent relationships defined based on simulations.
The old adage that optimizing a part leads to the optimization of the whole no longer holds true.
'분리'는 우리가 거주하는 이전 세기/세상의 이념이었다. '너는 이것을 하고, 나는 이것을 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 각자 자신이 잘하는 것을 하면 전체의 효율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이 분리의 이념은 서로 분리된 역할과 책임이 각 부분의 최적화를 이끌어 전체의 최적화를 이룬다는 믿음에 근거했다. 특정 요인의 최적화는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신의 부분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러한 분리의 이념은 우리 일상생활의 모든 부분에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서비스업에서 고객은 직원이 실수했을 때 그렇게 회초리를 휘두를 수 있었다. 왜냐하면 직원은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제대로 일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고객의 역할은 돈을 지불한 서비스를 받는 사람으로, 인간 간의 깊은 연대보다는 압도적인 위치에 있었다.
분리 이념의 가장 강력한 구현은 '기업의 사회적 역할은 이윤을 최대화하는 것에 있다'라는 주장이었다. (그 외에는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20세기라는 비교적 단순한 세계에서 분리하는 것이 동작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21세기에 살아가면서 이것이 더 이상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있다. 세상은 너무 복잡해져서, 아마도 완전히 분리된 요인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분리 시스템은 단지 심리적 위안일 뿐이며, 카네만의 이야기 짓기 오류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복잡한 세상을 단순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우리의 사고적 오류이다. 이러한 심리적 위안에 기대면 장기적으로는 예상치 못한 시스템 부분에서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현대 현대체제의 보상구조는 여전히 분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분리 됨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여기에는 심리적 반복피드백 루프가 있을 것이다.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분리 시스템이 계산하기 쉽고, 따라서 시스템의 플레이어에게 보상을 주기 쉽다는 것이다. 특히 단기적으로는 이 보상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장기적 부정적인 부작용은 숨겨져 있어(Skin in the game의 부재), 아무도 정말로 시스템이 과도하게 분리되어 있음의 위험성을 감수하지 않는다.
분리를 선호하는 것은 인간의 심리와 단창실이 시스템의 단점이지만, 역설적으로 시스템을 더욱 분리할수록 장기적으로는 시스템이 더욱 복잡해진다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을 수학적으로 단순화하고 모델링 할 수 없을까? 그리고 그런 모델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다중 에이전트가 공존하는 하나의 다중장치 웹 아트워크 시스템을 만드는 것 아닐까? (각 장치는 에이전트/시스템 플레이어로서, 장치 간 - 에이전트 간의 관계는 대략적으로 시뮬레이션에 기초해서 정의된다)
부분의 최적화는 더 이상 전체의 최적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disentanglement
entanglement
complexity
system
System Dynamics
Short-term
long-term
Myopic
Reward System
optimisation
multi-agent
multi-device
web-artwork
Multi-Device Web Artwork
Text written by Jeanyoon Choi
Ⓒ Jeanyoon Choi, 2024